일식 달그림자
데이터 범위
기간 : BC 4174.10.13 ~ 21세기
횟수 : 총 14,880회
개기일식 : 4,006회
달이 태양면 전부를 가리는 천문 현상. 태양 대기 코로나가 관측된다. 전체 일식 중 26.9%를 차지.
Total Solar Eclipse
금환일식 : 4,933회
달이 태양면 안으로 들어간 천문 현상. 태양이 반지 모양처럼 보인다. 전체 일식 중 33.1%를 차지.
Annular Solar Eclipse
혼성일식 : 686회
일부 지역은 개기일식이, 일부 지역은 금환일식이 나타나는 천문 현상. 전체 일식 중 4.6%를 차지.
Hybrid Solar Eclipse
부분일식 : 5,255회
달이 태양 일부만 가리는 천문 현상. 가장 빈번한 일식 유형이다. 전체 일식 중 35.3%를 차지.
Partial Solar Eclipse
※데이터 검색 방법
숫자로 연도 입력 (BC는 마이너스)
베셀 요소 계산법
베셀 요소(Besselian Elements)는 일식-월식 예측을 위한 변수 집합이다. 독일 천문학자 프리드리히 베셀(1784–1846)에서 유래했다. 일식 예측 핵심 요소는 태양과 달의 그림자가 지구에서 어떻게 보일 것인지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태양과 달의 중심 위치, 상대 속도, 그림자 경로 등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한다. 베셀 요소는 이 계산을 단순화한 도구다. 일식 그림자 궤적을 정밀하게 계산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다. 베셀 요소 구성은 다음과 같다.
1. 기본 요소
이 요소들은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한 태양과 달의 위치를 나타낸다.
요소 설명
T0 • 지구시 기준 일식 중심 시간
• 일식이 최대를 맞이하는 순간의 지구시. 이를 기준으로 다른 시간 변수들이 설정됨.
X, Y • 태양과 달의 상대 좌표
• 일식 최대 시점에서 태양 중심과 달 중심의 지구 중심 기준 상대 좌표. 달그림자 경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d • 달의 위상각
• 달이 태양을 가리는 정도
μ • 태양과 달의 상대 운동 방향
• 달그림자 진행 방향을 결정
2. 그림자 요소
이 요소들은 달그림자가 지구 표면에 어떻게 투사되는지를 결정한다.
요소 설명
l1, l2 • 본그림자와 반그림자 크기
• 본그림자(l1)는 태양이 완전히 가려지는 영역을, 반그림자(l2)는 부분일식이 보이는 영역을 의미한다.
dx/dt
dy/dt
• 달그림자 이동 속도
• 달그림자가 지구 위에서 이동하는 속도. 이를 통해 일식 지속 시간을 예측한다.
3. 지구 자전 보정 요소
지구는 구형이 아니라 타원체이고, 자전을 하기 때문에 이를 보정해야 한다.
요소 설명
f1, f2 • 지구의 자전 효과 보정 요소
• 지구의 회전과 형태(타원체 효과)를 반영한 보정값
ω • 지구 자전 속도
• 그림자가 지구 위에서 어떻게 이동하는지를 보정
※계산 방법과 데이터 출처
• 1단계 : 태양-달 위치 계산
• 2단계 : 달그림자 좌표 변환
• 3단계 : 달그림자 이동 경로 계산
– 미국 항공 우주국 「JPL DE441」, 미국 해군 천문대 「천문연감 보충 설명서」, 벨기에 천문학자 장 미우스 저서 「일식요소 : 1951-2200」
※계산에 사용된 기본 변수
1. 태양 시차 : 8.794144 각초
2. 태양 반경(평균 거리) : 959.630 각초
3. 지구 적도 반경 : 6378.136 km
4. 천문단위 : 1.4959787066e8 km
5. 달 반지름(반영) : 지구의 0.2725076
6. 달 반지름(본영) : 지구의 0.2722810
텔타T : TT – UT
델타T는 지구시(Terrestrial Time, TT)와 세계시(Universal Time, UT1) 간 차이다. 지구시는 지구 자전과 무관한 원자 시간이다. 세계시는 지구 자전에 기초한 천문 시간이다. 천체 위치는 먼저 지구시(가상 원자 시간)로 계산된다. 그 후 「지구 자전 변화 값」 곧 델타T를 추론해 세계시(실제 천문 시간)로 변환된다. 델타T는 일식 그림자 예측에서 가장 중요한 변수다. 지구시-세계시 변환에 1초 오차가 발생하면 일식 그림자 경로는 465미터 엇나간다. 이 웹사이트에 사용된 델타T는 영국 더럼대학교 F. R. 스티븐슨 명예교수가 연구한 공식에 기초했다. 자세한 설명은 별도 페이지에 있다.

GeoJSON
표 용어 설명 날짜와 시간
일식 날짜, 율리우스일, 최대식 시간은 세계시(UT1, 천문 시간) 기준이다. 세계시는 지구시(TT, 원자 시간)를 델타T로 조정한 값이다.
율리우스일
BC 4713년 1월 1일 정오(세계시, UT1)를 기점으로 경과한 일수다. 기준점은 고대 문명 관측 기록이 나타난 초기 시점이며, 고천문학 발굴 자료와 천체 데이터를 기초로 설정했다.
최대식
일식 본그림자가 지구 표면에서 가장 가까운 순간을 의미한다. 지구는 둥글기 때문에 본그림자가 지구에 투영되면서 이동할 때, 어느 한 지점에서 본그림자가 가장 깊숙이 투영되는 순간이 존재한다.
사로스 주기
일식과 월식이 18년 11일 8시간(약 6585.32일) 간격으로 반복되는 주기다. 사로스 주기에 태양-달-지구는 거의 동일한 위치로 배열된다. 예를 들어, 특정 날짜에 일식이 발생했다면, 사로스 주기 후에 일식이 다시 발생하게 된다.
신월 개수
2000년 1월 6일을 기점으로 발생한 신월(New Moon) 개수. 일식은 신월 무렵에 발생하므로 신월 주기 번호를 활용하면 일식 예측, 달 위상 계산, 사로스 주기 분석 등에 많은 도움을 준다.
감마
달그림자가 지구를 지나갈 때 지구 중심에 얼마나 가까운지를 보여주는 값이다. 이 값이 일식 유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감마 값이 양수일 경우 달그림자 경로는 북반구를 지나고, 음수일 경우 남반구를 지나게 된다.

다음 일식 : 2025-09-21 19:41:54 UT1
남은 시간 : 계산 중...